ultra_dev
포스트맨 토큰 자동 입력 방식(spring, nest js) 본문
포스트맨에서
AccessToken같은 토큰 값을 메소드마다 수동으로 넣으면 번거로우니 자동으로 넣어주자
1. 포스트맨 좌측 탭의 environment 클릭해서 토큰 값 넣어줄 token 생성 (+ 버튼 눌러서 생성)
2. v표 체크해주기.
Current value는 신경 쓰지 말기. 추후 토큰 발급 시 안에 자동으로 들어가는 값임
3-1 ( 스프링 )
토큰 발급해주는 로그인 메소드에 tests를 누르고 위에처럼 입력
발급 받은 토큰 값을 가져다 쓸 수 있게 저장해준다.
+ 만약 쿠키같은데다가 토큰을 저장했으면 getResponseHeader 부분을 수정해서 쿠키 꺼내서 token 전역변수로 넣어주면 된다.
+ 마찬가지로 리스폰스바디에로 보내주는 경우도 같은 방식으로 수정하면 된다.
3-2 ( 스프링 )
이후 토큰 값이 필요한 메소드들(로그인 한 유저의 토큰값이 필요한 게시글 CRUD 등..)의
Authorization을 누르고
API key나 Bearar 토큰같은 메뉴를 클릭하고
value에 1번에서 만들어놨던 {{token}}을 써주면
로그인한 토큰 값이 자동으로 들어가서
토큰 값이 필요한 메소드들에 수동으로 토큰 값을 넣어주지 않아도 편리하게 포스트맨을 사용할 수 있다.
3-1( Nest js )
네스트 js는 tests에 밑에 방식처럼 써주자 .json()
3-2 ( nest js)
여기선 value에 Bearer을 붙혀주자. 포함하지 않은 값을 가져 왔으니.. 아니면 아예 tests에 쓸 때 앞에 Bearer을 붙혀줘도 된다.
'TIL&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난 1년 간의 회고, 학습 내용 총 정리 (1) | 2023.10.25 |
---|---|
카프카(Kafka) (0) | 2023.08.19 |
Web Crawling 및 OpenSearch 사용기 (0) | 2023.07.02 |
하이퍼 v (0) | 2023.05.25 |
AWS Summit Seoul 2023 참가 후기!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