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Science (21)
ultra_dev
GC :가비지 컬렉터 메모리 관리 방법중 하나로 시스템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동적 할당된 메모리 블럭을 찾아서 자동으로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 회수시켜준다. Jvm 메모리의 Heap 영역에 위치한 GC는 Unreachable Object를 찾아 제거함으로써 Heap영역의 메모리를 관리 (해당 행위를 Mark and Sweep이라고 부름) Unreachable Object : stack에 도달할 수 없는 객체 stop the world : GC을 실행하기 위해 JVM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멈추는 것이다. stop-the-world가 발생하면 GC를 실행하는 쓰레드를 제외한 나머지 쓰레드는 모두 작업을 멈춘다. GC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야 중단했던 작업을 다시 시작한다. 만약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
HTTP/3 HTTP의 3번째 메이저 버전으로 HTTP/2의 차기 버전, 2022년 6월 6일 표준화됨 HTTP 3에서는 기존 TCP 방식이 아닌 UDP 방식 사용 공부할 때는 TCP방식이 더 신뢰성 있고 좋은 거라고 배웠는데 왜 이번에 UDP방식으로 돌아 갔을까? UDP 방식의 장점인 속도 때문이다. 거기에 구글이 QUIC 방식이 더해져서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QUIC은 TCP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레이턴시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구글이 개발한 UDP 기반의 프로토콜, TCP의 핸드쉐이크 과정을 최적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설계되었고, UDP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실현해냄 구글에서 UDP방식을 선택한 이유 UDP의 장점은 바로 커스터마이징이 용이하다는 것 TCP의 경우 워낙 오래 전에..
브라우저는 same-origin policy(SOP, 동일 출처 정책)에 의해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허용하지 않음.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동일 출처가 아니더라도 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SOP 예외 정책, 서로 다른 origin끼리 리소스 요청을 받을 수 있도록 표준( Same Origin Policy )을 우회하는 기술 SOP(same-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 - 브라우저가 동일 출처 정책을 준수해 다른 origin의 리소스 접근을 막는 것 Origin이란 - Protocol http , https + Host home (localhost , naver.com , google.com) + port (80 ,..

RDB:관계형 데이터베이스사전에 엄격하게 정의된 DB schema를 요구하는 table 기반 데이터를 구조 행과 열을 가지는 표 형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형태의 데이터 베이스SQL을 써서 조작 즉, 모든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 형태로 표현 장점 스키마에 맞춰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정합성을 보장할 수 있다.단점시스템이 커질 수록 쿼리가 복잡해지고 성능이 저하되며 Scale-out이 어렵다(Scale-up만 가능)ex) MySQL, PostgreSQL, 오라클 NoSQL: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table 형식이 아닌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SQL을 사용하지 않으며 MongoDB, redis가 대표적 RDBMS와 반대로 데이터간의 관계를 정의하지 않고, 스키마가 없어 좀 더 자유롭게 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