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mputer Science (21)
나만의 개발 로그 | 고민 로그

https://thenicesj.tistory.com/282>List : 데이터들이 순서대로 저장, 중복 허용 Map: 순서가 보장되지 않고, Key값 중복은 No, Value값 중복은 OK Set: 순서가 보장되지 않고, 데이터들의 중복을 허용 X 보통 List > Set > Map 순으로 조회 성능차이 발생 List:순서 존재인덱스로 원소에 접근 가능 종류LinkedList양방향 포인터 구조로 데이터 삽입, 삭제가 빠르다.양방향의 연결 리스트로 구성되어 있어 참조하려는 원소에 따라 처음부터 정방향 또는 역순으로 순회 가능 데이터를 추가·삭제시 가리키고 있는 주소값만 변경해주면 되기 때문에 ArrayList에 비해 상당히 효율적이다.ArrayList보다 검색이 느리다. 인덱스 사용 안하니까 검색 느림..
종종 매개변수(parameter)와 전달인자(argument)는 적당히 섞어서 쓰이기도 하는데, 이 경우 문맥에 따라 의미를 달리해서 해석되기도 한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매개변수는 함수의 정의부분에 나열되어 있는 변수들을 의미하며, 전달인자는 함수를 호출할때 전달되는 실제 값을 의미한다. parameter(매개변수)다음 cancat 함수 정의에서 str1과 str2는 parameter 입니다.def cancat(str1, str2): return a +" "+ bargument(전달인자)cancat 함수를 호출할 때, 입력값 “parameter”와 “argument”는 argument입니다.cancat("parameter", "argument") Parameter(매개변수)와 Argument(인..
B-Tree는 binary tree(이진 트리)에서 파생된 트리 구조 데이터베이스와 파일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트리 자료구조의 일종으로, 이진 트리를 확장해 하나의 노드가 가질 수 있는 자식 노드의 최대 숫자가 2보다 큰 트리 구조 인덱스에서 주로 사용한다. 이진 트리와의 차이점이 있다면, 하나의 노드는 2개 이상의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자식 노드도 여러 개를 가질 수 있다는 점 이진트리는 자식노드 2개밖에 안되지만 B-Tree는 2개 이상이다~ 최대m개 가질 수있다~ 하나의 노드에 키값을 여러개 가질 수 있고, 키 사이사이에 자식노드가 연결돼있다. + B+tree는 B-tree의 확장개념으로, b-tree와 달리 모든 노드에 key, data가 있지 않으며, leaf 노드에만 key..
제네릭 데이터의 타입을 일반화(Generalize)하는 것을 제네릭(Generic)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제네릭은 클래스나 메서드에서 사용할 데이터 타입을 컴파일 시에 미리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컴파일 시에 미리 타입 검사(Type Check)를 수행할 수 있다. 클래스나 메소드를 일반화시키는 기법 타입 검사를 컴파일 시에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1. 클래스나 메서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2. 반환값에 대한 타입 변환 및 타입 검사에 들어가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3. 타입에 대해 유연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4. 런타임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처리 기술이다. JDK 1.5 이전에서는 여러 타입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클래스나 메소드에서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