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34)
나만의 개발 로그 | 고민 로그
트랜젝션이란 데이터 베이스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수행되는 작업의 단위 삽입, 삭제, 수정 등의 처리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실행하며, 작업 실행 도중 실패 시 해당 작업 전체를 롤백할 수 있다. 이 트랜잭션에는 ACID라는 특징이 있다. 바로 원자성, 일관성, 고립성, 지속성이다. 원자성은 한 트랜잭션 내 실행한 작업들은 하나로 간주해서 모두 성공하거나 실패하는 것으로 처리 일관성은 데이터베이스는 항상 일관성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한다는 것을 의미 트랜잭션 이전과 이후,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는 이전과 같이 유효해야 한다. 즉, 트랜잭션이 커밋되면 데이터 베이스에 적용한 제약조건(PRIMARY KEY, UNIQUE, NOT NULL 등)을 위반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어야 함 고립성은 둘 이상의 트랜잭..
Web Server란? 클라이언트의 request(요청)를 받아 정적인 컨텐츠(html, css, js)를 response(응답)하는 서버 WAS 란? Web Application Server 클라이언트의 request(요청)를 받아 DB 조회나, 어떤 로직을 처리해야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response(응답)하는 서버 웹서버는 정적, WAS는 동적 결론적으로 어떤 타입의 컨텐츠(동적, 정적)를 제공하냐는 것 웹 서버와 WAS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 가능 대부분의 WAS는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에, 웹 서버 없이 WAS 만 존재할 수 있음 즉, WAS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그렇다면 WAS 외에 굳이 웹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WAS가 해야할 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크레인 인형뽑기(카카오) 설명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

TCP와 UDP는 OSI 7 계층들 중 4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Transport 4계층)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이다. ※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장치들 사이에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서비스 TCP는 패킷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TCP의 특징 1. 연결형 서비스로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해제한다. 2. 흐름 제어(Flow control) 데이터 처리 속도를 조절하여 수신자의 버퍼 오버플로우(송신이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