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4)
ultra_dev
☑️ Path Variable은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 ☑️ 데이터를 정렬, 필터링 등을 사용한다면 Query Parameter가 더 적합. ex) 📋 /boards 했을 때 게시글이 1000개고 이러면 한번에 보여주는건 무리고 비효율적 따라서 Query Parameter로 페이징 처리 📋 /board/1 /board/2는 둘이 별개의 리소스 Query Parameter를 boards에 쓴다면 boards?page=1 boards?page=2 이들은 똑같은 boards 리소스 내에서 각기 다른 정보를 뽑아온 것 위에처럼 페이징 혹은 boards?username=woong1 boards?username=woong2 이런식으로 필터링도 마찬가지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 일반..
깊은 복사(Deep Copy)는 '실제 값'을 새로운 메모리 공간에 복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복사된 배열이나 원본배열이 변경될 때 서로 간의 값은 바뀌지 않음 (복사값을 바꿔도 원본값 안바뀜) 얕은 복사(Shallow Copy)는 '주소 값'을 복사한다는 의미하며, 복사된 배열이나 원본배열이 변경될 때 서로 간의 값이 같이 변경됨 (복사값을 바꿨는데 원본값도 바뀜) 얕은 복사의 경우 주소 값을 복사하기 때문에, 참조하고 있는 실제값은 같음 → 알고리즘 문제 풀 때 얕은 복사 하다가 원본값도 바껴서 오류 날 수 있으니 조심!! ❗얕은 복사,깊은 복사 (1차 배열과 2차 배열에서 깊은 복사 가능한 메소드가 다름) 📋 1차 배열에서 얕은 복사 📌 (=) int[] arr = {1,2,3}; int[] 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