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4)
ultra_dev
컴퓨터 구조 :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 데이터 : 숫자, 문자,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정보 명령어 : 컴퓨터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정보, 위의 데이터는 명령어를 위한 재료! , 컴퓨터는 결국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이다. 컴퓨터의 네가지 핵심 부품 메모리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프로세스)의 명령어와 데이터 저장하는 부품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로 알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메모리는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조기억장치 : 전원이 꺼져도 보관될 프로그램 저장하는 장치, 메모리 보조? 메모리는 실행할 정보를 저장, 보조기억장치는 보관할 정보를 저장 입출력장치 : ..

포스트맨에서 AccessToken같은 토큰 값을 메소드마다 수동으로 넣으면 번거로우니 자동으로 넣어주자 1. 포스트맨 좌측 탭의 environment 클릭해서 토큰 값 넣어줄 token 생성 (+ 버튼 눌러서 생성) 2. v표 체크해주기. Current value는 신경 쓰지 말기. 추후 토큰 발급 시 안에 자동으로 들어가는 값임 3-1 ( 스프링 ) 토큰 발급해주는 로그인 메소드에 tests를 누르고 위에처럼 입력 pm.environment.set('token',postman.getResponseHeader('Authorization')); 발급 받은 토큰 값을 가져다 쓸 수 있게 저장해준다. + 만약 쿠키같은데다가 토큰을 저장했으면 getResponseHeader 부분을 수정해서 쿠키 꺼내서 toke..

개인 과제로파이썬을 통해 크롤링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오픈서치 인덱스로 저장 및 활용하여 시각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크롤링도 정적 크롤링과 동적 크롤링이 있었는데 request를 활용한 정적 크롤링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렇게 네이번 뉴스 검색 데이터를 aws opensearch 서버로 인덱스 저장 및 활용하는 방식으로 만들었다. 네이버 뉴스 Url 에서 가변적으로 변하는 부분을 변수로 받아서 입력 하게 하고 페이지별 뉴스가 보이는 곳에서는 뉴스 본문이 짤리기 때문에 네이버뉴스 링크를 타고 세부 기사 항목으로 들어간 뒤에 이렇게 제목, 본문, 언론사, 날짜같은 데이터들을 수집했다. 이렇게 저장을 하면 인덱스 작업을 거친 뒤 밑에 처럼 오픈서치 서버에 json 형태로 저장이 된다. 오픈서치란? ..
체크 예외 (Checked Exception): 체크 예외는 컴파일러가 강제로 예외 처리를 요구하는 예외 RuntimeException 클래스를 상속하지 않은 예외들이 체크 예외에 해당 주로 외부 리소스 접근이나 네트워크 통신과 같은 입출력 작업에서 발생 예외 처리를 강제함으로써 코드 안정성을 높이고 예외 발생 시 적절한 대응을 유도 언체크 예외 (Unchecked Exception): 언체크 예외는 컴파일러가 예외 처리를 강제하지 않는 예외 RuntimeException 클래스를 상속한 예외들이 언체크 예외에 해당 주로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나 오류를 나타냄 개발자의 실수나 프로그램 논리 오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명시적인 예외 처리를 강제하지 않기 때문에 코드 작성 시 ..